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께 기아 EV5 중국형 모델에 대한 포스팅과 더불어, 한국형 모델과 간략한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국내 시장에는 이제서야 출시를 하지만, 중국 시장은 벌써 2년 전인 23년 11월에 출시를 한 모델이라, 사진이나 정보가 조금 더 많은 편입니다.
제가 오늘 구한 시승차 사진은 중국 기준 630 wave 라는 차량으로, 중국 내에서는 GT-라인을 제외한 가격이 가장 비싼 모델입니다.
중국 내 EV5 가격이 149,800 위안부터 시작을 하고, 오늘의 주인공 630 Wave는 245,800 위안인데, 이렇게 해도 한국 깡통 가격보다 쌀 것 같아, 본 트림으로 준비를 하였습니다.
참고삼아 말씀드리면, 중국 시장에는 위와 같이 다양한 파워트레인 조합이 있는데...
580km : GT-라인 AWD
630km : 롱레인지 AWD
720km : 롱레인지 FWD
530km : 스탠다드 FWD
가격은 위 반대입니다.
530 -> 720 -> 630 -> 580 순입니다.
트림은 Air -> Light -> Land -> Wave 순서이고요.
정리해 보면, 오늘의 시승차 630 Wave는 대용량 배터리 + 듀얼모터를 탑재한 파워트레인에, 옵션은 최상위 트림이라는 뜻입니다.
다만, 중국 시장과 한국 시장은 파워트레인이 다를 예정이오니, 큰 의미는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중국형 EV5 소개 한 번 시작해 보겠습니다.
사실, 중국형 EV5와 한국형 EV5는 공개된 사진으로 추정컨대, 디자인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LED 헤드램프 및 주간주행등의 시그니처 라이팅 적용으로 인하여, 헤드램프 디자인은 일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측면부입니다.
중국형 기준
전장 : 4,615mm
전폭 : 1,875mm
전고 : 1,715mm
휠베이스 : 2,750mm
사이즈 자체는 한국형과 동일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만약, 사이즈를 달리한다고 하더라도, 여기서 더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사유는 보통 중국 사양은 한국 사양보다 휠베이스를 길게 가져갑니다.
거기에다가, 한국 시장에서 더 크기를 키워서 출시한다면, EV6 보다도 더 커지기에, 하극상까지는 감수할 것 같지는 않거든요.
실내 인테리어로 한 번 들어가 볼까요?
한국형과 중국형이 그나마 차이가 나는 부분이 바로 실내인데요.
우선 스티어링 휠 디자인입니다.
중국형은 기아 로고가 중간에 대문짝만하게 있다면, 한국형은 우측에 조그마하게 들어갑니다.
그리고 주의하실 점은 일반형과 GT-라인 디자인이 조금 다릅니다.
위 사진은 중국형 EV5 GT라인인데, 3스포크 타입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고, 기아 로고도 중간이 아닌, 우측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센터패시아 모습입니다.
시트 디자인 차이로 인하여, 센터 콘솔 디자인 일부가 다른데, 이건 다른 사진에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조수석 센터패시아 모습이고요.
파노라믹 디스플레이(계기판 + 인포테인먼트 모니터) 모습입니다.
한국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1열 시트 모습입니다.
이 부분이 한국형과 중국형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중국형은 1열 시트가 벤치 타입으로, 캐스퍼나 트럭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트가 독립되어 있지 않고, 연결된 것처럼 생겼습니다.
반면, 한국형은 독립형 시트를 넣고, 그 사이에 고급화된 센터 콘솔을 넣게 되고요.
마지막으로 2열 모습입니다.
한국형이 2열 시트가 완전 평탄화가 된다고는 하는데, 사진만 봐서는 중국형도 2열 시트 평탄화가 됩니다.
구체적인 차이는 한국형 사양이 완전히 공개되면, 그 차이점을 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디자인만 놓고 보면, 한국형이나 중국형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주요 차이점은 한국형은 고가의 리튬이온(NCM) 배터리를, 중국형은 저가형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쓰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 될 것입니다.
중국형에 탑재되는 LFP 배터리 용량은 88.1kWh
한국형에 탑재되는 NCM 배터리 용량은 81.4kWh
다만, 둘 다 배터리 제조사는 중국 CATL 사가 들어가는데...글쎄요.
결국 한국형은 배터리를 같은 중국제이지만, NCM 배터리로 바꾸고 인테리어를 조금 고급화 시킨 것이 핵심인데, 문제는 가격이 최소 5천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중국형 EV5 의 현지 가격은 149,800 위안 ~ 255,800 위안입니다.
즉, 대용량 배터리 + 듀얼모터 + GT-라인까지 다 때려 넣은 중국 풀옵션 가격이 한국 깡통 가격과 맞먹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 이 정도면 그냥 한국도 LFP 배터리 넣고, 조금 더 싸게 팔았으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이러나저러나 어차피 중국산 배터리가 탑재되는데, 그럴 거면 안정성이 높은 LFP가 더 나은 것 같기도 하고요.
뭐...기아 입장에서도 EV3 보다는 무조건 비싸야 하니, 어쩔 수 없이 비싼 가격을 책정해야겠지만요.
한국에서 EV5 가격이 얼마부터 시작일지, 풀옵션은 얼마일지 정말 궁금해지는 대목입니다.
이것으로 오늘 포스팅 마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자동차 가격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벤츠 전차종 가격표 - 26년식 A클래스, GLA 추가 (1) | 2025.07.23 |
---|---|
2025년 7월 BMW 전차종 가격표 - 1시리즈 풀체인지 추가 (3) | 2025.07.22 |
EV5 vs EV5 GT-라인 간단 비교 + 실내 모습 (2) | 2025.07.20 |
테슬라 모델 3+ : 대용량 배터리 + 싱글모터 = 주행가능거리 몰빵 (1) | 2025.07.19 |
2025 EQS SUV 가격표 및 옵션표 + EQS450 vs EQS580 비교 (4) | 2025.07.18 |